방탄소년단(BTS)소속사 하이브 방시혁 의장, 게임산업 본격진출 선언
페이지 정보

작성일 2023.03.15 16:38
본문
방탄소년단(BTS)소속사 하이브가 게임산업 본격화를 선언했다.19일 부산 '지스타 2022' 현장에서 하이브는 기자간담회를 열고 중견 게임사 플린트의 신작 '별이되어라2:베다의기사들' 퍼블리싱 및 투자계약을 알리는 한편, 플린트 지분을 취득하는 투자도 단행했다. 하이브의 수익 대부분을 BTS에 의존하고 있는 기존 음악 레이블 사업에서 게임, 대체불가능토큰(NFT), 메타버스 등 새로운 사업으로 수익 모델을 다각화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해석된다.

국내 최대 게임전시회'지스타2022'가 열리고 있는 부산 벡스코에는 하이브 부스가 없지만 현장에는 하이브홀딩스 산하의 게임회사 하이브IM(Interactive Media)정우영 대표,게임 '별이 되어라'를 만든 게임개발사 플린트 김영모 대표가 함께 해 게임 사업에 대한 의지와 진정성을 내비치기도 했다.
이 자리에서 방시혁 의장은 기자간담회를 통해"게임은 엔터테인먼트와 관련한 모든 요소가 함축적으로 담긴 매력적인 콘텐츠"라며"음악을 넘어 글로벌 라이프스타일 플랫폼 기업이란 미래 계획을 가진 하이브가 게임 사업으로 더욱 즐거운 시간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플린트 지분을 취득하는 투자에 대해서도 박지원 하이브 CEO는"자체 개발작을 성공적으로 서비스한데 이어 퍼블리싱 사업까지 진출한 것은 하이브가 종합 엔터테인먼트 기업으로서 게임산업을 본격화 했다는 뜻"이라고 그 배경을 설명했다.
정우영 대표도 "자체 게임 제작과 퍼블리싱까지 두 개의 엔진을 장착했다. 음악에 있어 타협없는 하이브와 게임 완성도를 위해 집착하는 플린트는 닮아있다"며 투자를 반겼다.

그 동안 하이브는 방탄소년단의 활발한 해외활동 등으로 연예 기획사 중에서 역대 최초로 연간 매출 1조원 시대를 여는 등 전성기를 이어왔지만 멤버 군입대 이슈와 맞물려 항상 그 성장성 여부에 의문부호가 따라 붙곤했다. 하지만 이번 일을 계기로 종합 플랫폼 기업으로 한단계 높은 도약을 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었다.

사실 하이브의 게임산업 진출은 하루아침에 이뤄진것이 아니고 오랫동안 투자가 이루어진 분야이다. 2018년 넷마블이 하이브의 전신인 빅히트엔터테인먼트에 2014억 원을 투자해 게임 개발 협업을 추진했고, 국내 1위 게임업체 넥슨 출신으로 2014년 넥슨코리아 대표등을 역임한 박지원 대표를 2020년 최고경영자로 영입해 올해 상반기에는 게임 사업을 전담하는 산하 법인 하이브IM을 분사시켜 게임 사업을 본격화했다. 하이브IM이 자체개발해 올해 6월 출시한'인더섬 위드BTS'은 두달만에 누적가입자 600만명을 모으며 긍정적인 성과를 내기도 했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가수를 소재로 내세운 게임이 완성도가 떨어져 장기적인 평판을 저해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오고 있다. 이에 하이브IM은 향후 가수 캐릭터를 벗어난 신작 게임을 출시한다는 계획이다. 정우영 하이브IM대표는 "아티스트 지식재산권(IP)도 소중한 자산이지만, 이를 활용하지 않는 게임도 선보이고자 노력할 것"이라며"아티스트와 음악을 소재로 한 신규 게임 프로젝트를 준비하면서, 스타트업 마코빌의 신작 게임 2건을 내년쯤에 출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이전글엔씨, 아마존게임즈와 ‘쓰론 앤 리버티’ 글로벌 퍼블리싱 계약 체결 23.03.15
- 다음글넷마블 신작 ' 일곱개의 대죄 오리진 ' 신규 영상 공개! 23.03.15